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세그먼트 트리
- dfs
- disjoint set
- 파이썬
- 다익스트라
- docker
- BFS
- 포트앤어댑터 아키텍처
- DP
- springboot
- dataframe
- Redis
- 자바
- 비트마스크
- 알고리즘
- 헥사고날 아키텍처
- java
- equals
- UML
- series
- 이펙티브 자바
- 스프링
- 위상정렬
- pandas
- spring security
- ddd
- 데이터 flow
- JPA
- 백준
- 문자열
- Today
- Total
코딩못하는사람
5719 거의 최단 경로 본문
5719번: 거의 최단 경로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장소의 수 N (2 ≤ N ≤ 500)과 도로의 수 M (1 ≤ M ≤ 104)가 주어진다. 장소는 0부터 N-1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
www.acmicpc.net
1.접근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원래의 최단경로를 제외한 길에서의 최단경로이다
따라서 다익스트라를 활용하여 최단경로를 구한 후 그 경로들을 제거해준후 다익스트라를 다시 돌리면 될것이다.
2.풀이
문제풀이 방법을 생각보다 간단하고 구현에서 시간이 걸린다.
접근에서 말한 것 처럼 다익스트라로 최단경로를 구해준다. 근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최단경로가 여러개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나는 도착지점부터 시작지점까지 올라가는 백트래킹을 활용했다.
다익스트라로 얻은 배열을 ans이라고 해보자. 가장 마지막 last 정점에 연결되는 정점들중 last정점의 ans[last]값과 ans[연결된정점]+간선(연결된정점->last)을 더해준게 같으면 그 경로는 최단거리에 포함되는 간선일 것이다. 최단거리에 포함되는 간선이라면 중복을 제거하는 set자료형에 넣고 그 정점에 도착하는 정점들로 계속 반복해서 실행해 준다.
마지막으로 set자료형에 들어와있는 값들을 하나씩 꺼내서 간선배열에서 없애준 후 다익스트라를 하면 된다.
한 정점을 향하는 모든 정점을 보기위해 where 배열을 선언하여 초기값 넣을 때 만들었고, 딕셔너리형으로 다익스트라를 구현해서 set자료형에 들어온 간선들을 없앨때의 시간을 줄였다.
자기 정점을 향하는 정점들을 볼 때 이미 방문한 곳에서 올수도 있으므로 ans[i]>ans[last]면 continue했다
시간초과를 한번 받았는데 중복되는 값들이 많이 들어올거라고 생각을 안하고 모두 재귀를 시켜서 시간초과였다.
if (i,last) not in delete: 를 활용해서 없을때만 들어가면 되게 바꿔주었다(set자료형이라 빠르게 가능하다).
3.코드
import sys | |
from heapq import * | |
sys.setrecursionlimit(10**9) | |
INF=sys.maxsize | |
input=sys.stdin.readline | |
def dijkstra(s): | |
ans=[INF]*n | |
ans[s]=0 | |
Q=[] | |
heappush(Q,(0,s)) | |
while Q: | |
a,b=heappop(Q) | |
if ans[b]<a: | |
continue | |
else: | |
for q in adj[b]: | |
w=adj[b][q] | |
if ans[q]>ans[b]+w: | |
ans[q]=ans[b]+w | |
heappush(Q,(ans[q],q)) | |
return ans | |
def tracking(ans,last): | |
global delete | |
temp=ans[last] | |
for i in where[last]: | |
if ans[i]>ans[last]: | |
continue | |
elif ans[i]+adj[i][last]==temp: | |
if (i,last) not in delete: | |
delete.add((i,last)) | |
tracking(ans,i) | |
while 1: | |
n,m=map(int,input().split()) | |
if n==0 and m==0: | |
break | |
s,d=map(int,input().split()) | |
adj=[{}for _ in range(n)] | |
where=[[]for _ in range(n)] | |
delete=set() | |
for i in range(m): | |
a,b,c=map(int,input().split()) | |
adj[a][b]=c | |
where[b].append(a) | |
ans=dijkstra((s)) | |
tracking(ans,d) | |
for a,b in delete: | |
del adj[a][b] | |
temp=dijkstra(s)[d] | |
if temp==INF: | |
print(-1) | |
else: | |
print(temp) |
4.배운점
-
딕셔너리 형태로 다익스트라를 구현하는 연습이 잘 된것 같다.(del로 지우는 표현이 어색했음)
-
어떻게 풀어야할지는 알겠는데 구현이 까다로운것 같을때는 머리로만 생각해보는 것보다 그냥 한번 코딩해보는 것도 좋은것 같다
'백준 문제풀이(JAVA,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401 이항계수3 (페르마 소정리) (0) | 2020.10.25 |
---|---|
14502 연구소 (0) | 2020.10.12 |
9466 텀 프로젝트 (0) | 2020.10.06 |
13344 Chess Tournament (2) | 2020.09.28 |
18809 Gaaaaaaaaaarden (1) | 2020.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