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pandas
- Redis
- 위상정렬
- 헥사고날 아키텍처
- 데이터 flow
- ddd
- 문자열
- 자바
- 스프링
- docker
- 비트마스크
- JPA
- DP
- java
- 이펙티브 자바
- 다익스트라
- equals
- 포트앤어댑터 아키텍처
- springboot
- series
- dataframe
- UML
- 세그먼트 트리
- BFS
- dfs
- 백준
- 알고리즘
- disjoint set
- 파이썬
- spring security
- Today
- Total
코딩못하는사람
2263 트리의 순회, 5639 이진 검색 트리 본문
두개의 문제는 전위,중위,후위순회을 활용해서 문제를 풀어봐야한다.
2263 트리의 순회
https://www.acmicpc.net/problem/2263
1.접근
생각하기 어려웠지만 직접 트리를 그려서 중위탐색과 후위 탐색을 해보면 전위 탐색을 어떤식으로 해야할지 보였다.
2.풀이
중위순회과 후위순회을 그려보면 규칙을 찾을 수 있다. 후위 탐색된 리스트에서 맨 마지막 값은 중위 순회의 루트노드일 것이다.따라서 중위 탐색에서 그 루트노드의 인덱스를 구해서 왼쪽 오른쪽 나눠서 재귀적인 문제로 만들어 풀면 된다.
여기서 후위순회에서 구한 루트값의 인덱스를 구할 때 일일이 탐색하게 되면 시간초과가 날게 분명하므로
for i in range(n):
num[in_order[i]-1]=i 루트값이 어디있는지 인덱스를 빠르게 구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이 스킬이 중요했다.

<<중위 순회
<<후위 순회
3.코드
import sys | |
input=sys.stdin.readline | |
sys.setrecursionlimit(10**9) | |
def divide(root,left,right,plus): | |
if left>right or right<left: | |
return | |
print(root,end=' ') | |
temp=num[root-1] | |
L=temp-left | |
R=right-temp | |
if plus+L-1<n: | |
divide(post_order[plus+L-1],left,temp-1,plus) | |
if plus+L+R-1<n: | |
divide(post_order[plus+L+R-1],temp+1,right,plus+L) | |
n=int(input()) | |
in_order=list(map(int,input().split())) | |
post_order=list(map(int,input().split())) | |
num=[0]*n | |
for i in range(n): | |
num[in_order[i]-1]=i | |
root=post_order[-1] | |
divide(root,0,n-1,0) | |
4.배운점
- 숫자가 n까지 순서대로 나왔을 때 그 값이 어느 인덱스에 있는지 쉽게 구할 수 있는 코드를 익숙하게 쓰자
- 재귀함수에 범위를 잡아줄 때 많이 어려웠다.오른쪽은 plus를 해준 곳 기준으로 움직였어야 하는데 plus변수 사용이 어려웠다.
5639 이진 검색 트리
https://www.acmicpc.net/problem/5639
1.접근
위 문제와 비슷하게 트리를 전위 순회한 결과를 보면 어떻게 재귀적으로 나눠서 풀어야 할지 보였다
2.풀이
전위 순회가 주어지므로 첫 수는 당연히 전체 트리의 루트노드일 것이다.
그 루트노드 값보다 큰것은 오른쪽 작은것은 왼쪽으로 나눠진다는 생각을 가지고 재귀를 만들면 된다.
왼쪽 오른쪽 나눠서 들어가면 또 맨 앞에 있는 숫자가 서브트리의 루트노드일 것이다.
오른쪽과 왼쪽을 구분짓는 구간을 찾기위해서 일일히 해보기 보다는 공부했던 이진탐색을 활용해서 시간을 단축했다.
3.코드
import sys | |
sys.setrecursionlimit(10**9) | |
input=sys.stdin.readline | |
Q=[] | |
ans=[] | |
while True: | |
try: | |
Q.append(int(input())) | |
except: | |
break | |
def BS(L,R,root): | |
x=L | |
if Q[R]>root: | |
while L<=R: | |
mid=(L+R)//2 | |
if Q[mid]>root: | |
R=mid-1 | |
else: | |
L=mid+1 | |
if Q[mid]>root: | |
return mid | |
else: | |
return mid+1 | |
else: | |
return x | |
def divide(left,right): | |
if left==right: | |
ans.append(Q[left]) | |
return | |
root=Q[left] | |
ans.append(root) | |
temp=BS(left+1,right,root) | |
if temp==left+1: | |
divide(temp,right) | |
return | |
else: | |
divide(temp, right) | |
divide(left+1,temp-1) | |
divide(0,len(Q)-1) | |
for i in ans[::-1]: | |
print(i) |
4.배운점
- 재귀 함수나 DFS같은 함수를 만들 때 탈출조건을 더 신중히 생각해서 설정해야겠다.
- 입력이 몇개들어오는지 모를 때는 while에 try,except문을 합쳐서 구현하면 된다. 익숙하지 않아서 쓰지 않았는데 이참에 외워야 겠다.
'백준 문제풀이(JAVA,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809 Gaaaaaaaaaarden (1) | 2020.09.22 |
---|---|
2887 행성터널 (1) | 2020.09.03 |
13913 숨바꼭질 4 (BFS 역추적) (1) | 2020.09.02 |
1167 트리의 지름순 (1) | 2020.08.27 |
1086 박성원 (비트,DP) (1) | 2020.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