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disjoint set
- DP
- 데이터 flow
- BFS
- springboot
- series
- 헥사고날 아키텍처
- 다익스트라
- 스프링
- 포트앤어댑터 아키텍처
- UML
- 문자열
- 파이썬
- 백준
- equals
- 세그먼트 트리
- java
- dataframe
- 알고리즘
- dfs
- spring security
- 자바
- 이펙티브 자바
- 위상정렬
- pandas
- Redis
- docker
- 비트마스크
- ddd
- JPA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테스트 코드 (1)
코딩못하는사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Puvjh/btq3SvcS3Ib/c07lnk6K42ikFYd5GvWq41/img.png)
TDD (Test-Driven Development)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테스트가 주도하는 개발이라는 뜻이다. 종료조건을 테스트 코드로 미리 정하고 그에 맞춰서 테스트를 통과시키기 위해 개발해 나간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항상 실패하는 테스트를 먼저 작성한다(RED) 테스트가 통과하는 프로덕션 코드를 작성한다(GREEN) 테스트가 통과하면 프로덕션 코드를 리팩토링한다. 위 3단계를 반복하며 점진적으로 개발을 완료시킨다. 프로덕션 코드-프로젝트의 로직을 포함하고 제품(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시스템의 부분을 가리킨다 단위 테스트(Unit Test)란? TDD의 첫 단계인 기능 단위의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다. TDD를 하는 것이 아닌 순수하게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왜 ..
스프링부트(SpringBoot)/활용
2021. 5. 1. 07:18